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ExpressVPN
- 레노버씽크패드
- 삼성노트북
- 레노버노트북
- 15인치노트북
- 노트북추천
- 유튜브프리미엄
- 유튜브프리미엄우회
- 사무용노트북
- etf추천
- 유튜브프리미엄가격
- 대학생노트북
- 인강용태블릿
- 16인치노트북
- 아이패드에어5세대
- vpn추천
- 갤럭시탭S8울트라
- 추천
- 애플워치울트라
- 비교
- 로봇청소기추천
- 아이패드프로6세대12.9인치
- 삼성갤럭시북
- 게이밍노트북
- NFXBUS
- 고성능노트북
- 에어팟3세대
- 갤럭시탭s8
- 네픽스버스
- 갤럭시워치3
- Today
- Total
테크톡_경제정보공간
“비트코인 9만 달러 붕괴 조짐? 시세 및 전망” 6월 암호화폐 시장, 조정 vs 반등 시나리오 본문
목차
- 비트코인 조정 구간 진입…하락 경고 vs 온체인 강세론
- 비트코인 ETF 대규모 순유출 발생
- 日 메타플래닛, 비트코인 추가 매입으로 상위 보유자 진입
- 5월 암호화폐 해킹 손실액 2억 달러 돌파
- 美 정부, 비트코인 매입 전략 본격 검토 중
- 마무리 및 시사점
1. 비트코인 조정 구간 진입…하락 경고 vs 온체인 강세론
6월 첫 주, 비트코인은 지난 8주 간의 상승 랠리를 마치고 -3.87% 하락하며 조정 국면에 들어섰습니다. 일부 전문가들은 ‘베어 플래그(bear flag)’ 패턴이 형성되고 있다며, 향후 9만7000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
반면, 온체인 데이터 상에서는 활성 지갑 주소 수의 증가와 같은 강세 지표가 다수 확인되고 있어, 시장이 재차 반등할 가능성도 함께 점쳐지고 있습니다.
✅ 관련 키워드: 비트코인 하락 전망, 온체인 데이터, 베어 플래그 패턴
2. 비트코인 ETF 대규모 순유출 발생
미국 내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는 1억5700만 달러(한화 약 2172억 원) 규모의 자금이 빠져나가며 순유출 기록을 남겼습니다.
이는 최근 비트코인 가격 상승 이후 차익 실현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, 동시에 단기 불확실성에 대한 경계 심리가 반영된 결과라는 해석도 나옵니다.
✅ 관련 키워드: 비트코인 ETF, 순유출, 기관 투자자 매도
3. 日 메타플래닛, 비트코인 보유량 세계 10위
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(Metaplanet)이 비트코인을 추가로 매입하며 총 보유량을 141.07 BTC로 늘렸습니다.
매입 단가는 BTC당 약 10만7771달러로, 현재 시점에서 메타플래닛은 전 세계 비트코인 보유량 기준 10위권에 올랐습니다.
이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등 기관 투자자의 뒤를 잇는 전략적 접근으로, 아시아 기업의 비트코인 시장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는 증거로 볼 수 있습니다.
✅ 관련 키워드: 메타플래닛, 비트코인 매입, 기업 비트코인 투자
4. 5월 한 달 해킹 피해액만 2.44억 달러
2025년 5월 한 달간 암호화폐 해킹 및 사기로 인한 피해액이 무려 2억4400만 달러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
가장 큰 피해 사례는 세투스(Setus) 프로토콜 악용 사건이며, 북한 해킹 조직과 연관된 활동도 보고되고 있어 글로벌 보안 이슈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✅ 관련 키워드: 암호화폐 해킹, 세투스 프로토콜, 블록체인 보안
5. 미국 정부, 비트코인 매입 전략 검토
미국 백악관의 가상자산 및 AI 정책 수석인 **데이비드 삭스(David Sacks)**는 최근 인터뷰에서 “정부의 부채 증가 없이 비트코인을 매입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 중”이라고 밝혔습니다.
이는 미국이 가상자산 산업의 리더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되며, 향후 공공자산으로서의 비트코인 채택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.
✅ 관련 키워드: 비트코인 공공자산, 미국 정부 가상자산, 비트코인 매입
6. 마무리 및 시사점
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상승 피로감과 기술적 조정, 해킹 위협, 그리고 글로벌 정책 변화라는 복합적인 요소로 인해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
특히 기관 및 국가 단위의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단기적 가격 변동성보다 장기적 패러다임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.
💡 투자자는 온체인 지표, ETF 흐름, 보안 리스크, 정책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분산 투자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.
'경제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트코인·이더리움 반등, 미국 ETF 유입 가속화, 리플의 빅 뉴스까지! (3) | 2025.06.04 |
---|---|
이더리움(Ethereum), 상승세 지속될까? 2025년 하반기 시세 및 전망 분석 (3) | 2025.06.03 |
절세를 위한 가장 쉬운 선택. 2025년 연금계좌 ETF 투자자라면 이 5개는 필수! (2) | 2025.06.02 |
리또속 오명을 벗을까? 2025 XRP 전망 SEC 족쇄 풀린 리플, ETF 수혜로 $10 간다? (2) | 2025.06.02 |
종합소득세 신고 늦었지만 이후에 신고하면 어떻게 될까?(프리랜서) (0) | 2025.06.02 |